아래와 같은 큐브를 생각해보자.



















a. 정육면체의 큐브 하나 당 10의 에너지를 품을 수 있다고 가정한다. (큐브의 에너지 잔량)

b. 큐브의 한 면은 1시간 당 1의 에너지를 손실한다고 가정한다. (외부접촉에 의한 열손실)

c. 하나의 큐브는 1시간당 자체적으로 1의 에너지를 소모한다고 가정한다. (생명체의 활동 에 따른 에너지 손실)



큐브 1개
a= 10 , b= 6, c= 1 / 1시간 경과후 a= 3

큐브 8개 (2x2x2)
a= 80 , b= 24, c= 8 / 1시간 경과후 a= 48 / 2시간... a= 16

큐브 27개 (3x3x3)
a= 270 , b= 54 , c= 27 / 1시간 경과후 a= 189 / 2시간... a= 108 / ... 3시간... a= 27

큐브 64개 (4x4x4)
a= 640 , b=  96, c= 64 / 1시간 경과후 a= 480 / 2시간... a= 320 / ... 4시간... a= 0

큐브 125개 (5x5x5)
a= 1,250 , b=  150, c= 125
/ 1시간 경과후 a= 975 / 2시간... a= 700 / ... 4시간... a= 150

큐브 1,000개 (10x10x10)
a= 10,000 , b= 600, c= 1000
/ 1시간 경과후 a= 8400 / 4시간... a= 3600 / ... 6시간... a= 400

큐브 100만 개 (100x100x100)
a= 10M , b= 60,000, c= 1M
/ 1시간 경과후 a= 894만 / 4시간... a= 576만 / ... 9시간... a= 460,000


곰과 같이 덩치가 큰 동물일수록 먹이를 먹지 않아도 오래 버틸 수 있고 a와 b의 비율 즉 저장한 에너지량에 비해 외부접촉으로 잃는 에너지량의 비율이 작아진다. 큐브 125개일때 외부접촉에 의한 열손실은 총 에너지 대비 12%, 큐브 1,000개 일때는 6퍼센트. 엄청난 차이가 난다. 즉 곰 처럼 큰 동물일 수록 추위가 와도 열을 많이 빼앗기지 않는다.

실제 생물의 세포가 가지는 에너지 저장량과 활동시 소모되는 에너지가 위의 계산과 같지는 않겠지만 일반적으로 설명하기에 부족함은 없다고 본다.